[통계] 2021년 한약소비실태조사 기초보고서(2022) | ||
|
||
제1장 조사 개요
1. 조사 배경 및 목적
2. 조사 연혁
3. 법적 근거
4. 조사 주기
5. 조사 시기
6. 조사 대상
7. 표본설계
8. 조사 방법 및 자료 수집 절차
9. 조사 항목
10. 자료 처리 및 분석
11. 응답 사업체 특성
12. 결과 공표
제2장 조사 결과 요약
제3장 조사 결과 분석 - 한방의료서비스 부문(한방병원)
1. 의료기관의 일반 특성 사항
(1) 진료과목
(2) 의과와 진료협약 유무
(3) 타 한방기관과 진료협약 유무
(4) 프랜차이즈 또는 네트워크 가입 유무
2. 의료기관의 운영 현황
(1) 건물 소유 여부
(2) 시설 전체 면적
(3) 병상이용률
3. 인력현황
4. 의료기관의 경영 현황
(1) 전체 매출액
(2) 매출액 중 보험 및 비보험 비중
(3) 매출액 중 비보험 치료법 매출 구성비
5. 한방 진료 및 처방 현황
(1) 첩약 처방 건수
(2) 한약제제 보험한약 처방 건수
(3) 한약제제 비보험한약 처방 건수
(4) 2019년 대비 2020년도 첩약의 처방(조제) 건수 변화
(5) 2019년 대비 2020년도 한약제제(보험한약)의 처방(조제) 건수 변화
(6) 2019년 대비 2020년도 한약제제(비보험한약)의 처방(조제) 건수 변화
6. 첩약 및 한약제제 용도별 비중 및 다빈도 질환과 처방명
(1) 첩약 처방(조제)건 대비 용도별 비중
(2) 한약제제(비보험한약) 처방(조제)건 대비 용도별 비중
(3-1) 질환치료 시 첩약으로 가장 많이 처방(조제)된 질환
(3-2) 질환치료 시 첩약으로 가장 많이 처방(조제)된 질환별 처방명
(4-1) 질환치료 시 한약제제(비보험한약)로 가장 많이 처방(조제)된 질환
(4-2) 질환치료 시 한약제제(비보험한약)으로 가장 많이 처방(조제)된 질환별 처방명
(5-1) 질환치료 시 한약제제(보험한약)로 가장 많이 처방(조제)된 질환
(5-2) 질환치료 시 한약제제(보험한약)로 가장 많이 처방(조제)된 질환별 처방명
7. 선호 제형 및 이유
8. 탕전 이용 현황
(1) 탕전실 이용형태
(2-1) 첩약 1제당 최저가격
(2-2) 첩약 1제당 최고가격
(3) (제형별)월 평균 탕전 건수
9. 사용한 한약재 가지 수 및 다소비 한약재
(1) 사용한 한약재의 총 가지 수
(2) 가장 많이 소비한 한약재
(3) 매출액 대비 한약재 구입비용 비율
10. 한약재 구입 및 어려움
(1) 사용한 한약재를 가장 많이 구입한 구입처
(2) 구입에 어려움이 있었던 한약재 여부
(3) 구입에 어려움이 있었던 한약재
(4) 구입이 어려웠던 이유
11. 한약재에 대한 인식
(1-1) 원외탕전실 인증제 인지 여부
(1-2) 원외탕전실 이용 여부
(2-1) 한약규격품(601종) 인지 여부
(2-2) 소량소비 한약재 안정적인 공급체계 구축 필요 여부
12. 한약이용 확대방안
(1) 첩약의 이용을 확대시키는 방안
(2) 한약제제(보험한약)의 이용을 확대시키는 방안
(3) 한약제제(비보험한약)의 이용을 확대시키는 방안
13. 한방의료 분야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될 사항
14. 한방의료에 대한 건강보험급여 확대 관련
(1) 한방의료에 대한 건강보험급여 확대 시 우선 적용이 필요한 한방치료법
(2) 건강보험급여 적용 1순위 한방치료법별 적용 필요 질환
(3) 건강보험급여 적용 1+2순위 한방치료법별 적용 필요 질환
제4장 조사 결과 분석 한방의료서비스 부문 한의원
1. 의료기관의 일반 특성 사항
(1) 대표자 전문의 자격 명칭
(2) 의과와 진료협약 유무
(3) 타 한방기관과 진료협약 유무
(4) 프랜차이즈 또는 네트워크 가입 유무
2. 의료기관의 운영 현황
(1) 건물 소유 여부
(2) 시설 전체 면적
(3) 병상유무
3. 인력현황
4. 의료기관의 경영 현황
(1) 전체 매출액
(2) 매출액 중 보험 및 비보험 비중
(3) 매출액 중 비보험 치료법 매출 구성비
5. 한방 진료 및 처방 현황
(1) 첩약 처방 건수
(2) 한약제제(보험한약) 처방 건수
(3) 한약제제(비보험한약) 처방 건수
(4) 2019년 대비 2020년도 첩약의 처방(조제) 건수 변화
(5) 2019년 대비 2020년도 한약제제(보험한약)의 처방(조제) 건수 변화
(6) 2019년 대비 2020년도 한약제제(비보험한약)의 처방(조제) 건수 변화
6. 첩약 및 한약제제 용도별 비중 및 다빈도 질환과 처방명
(1) 첩약 처방(조제)건 대비 용도별 비중
(2) 한약제제(비보험한약) 처방(조제)건 대비 용도별 비중
(3-1) 질환치료 시 첩약으로 가장 많이 처방(조제)된 질환
(3-2) 질환치료 시 첩약으로 가장 많이 처방(조제)된 질환별 처방명
(4-1) 질환치료 시 한약제제(비보험한약)로 가장 많이 처방(조제)된 질환
(4-2) 질환치료 시 한약제제(비보험한약)으로 가장 많이 처방(조제)된 질환별 처방명
(5-1) 질환치료 시 한약제제(보험한약)로 가장 많이 처방(조제)된 질환
(5-2) 질환치료 시 한약제제(보험한약)로 가장 많이 처방(조제)된 질환별 처방명
7. 선호 제형 및 이유
8. 탕전 이용 현황
(1) 탕전실 이용형태
(2-1) 첩약 1제당 최저가격
(2-2) 첩약 1제당 최고가격
(3) (제형별)월 평균 탕전 건수
9. 사용한 한약재 가지 수 및 다소비 한약재
(1) 사용한 한약재의 총 가지 수
(2) 가장 많이 소비한 한약재
(3) 매출액 대비 한약재 구입비용 비율
10. 한약재 구입 및 어려움
(1) 사용한 한약재를 가장 많이 구입한 구입처
(2) 구입에 어려움이 있었던 한약재 여부
(3) 구입에 어려움이 있었던 한약재
(4) 구입이 어려웠던 이유 - 1순위
11. 한약재에 대한 인식
(1-1) 원외탕전실 인증제 인지 여부
(1-2) 원외탕전실 이용 여부
(2-1) 한약규격품(601종) 인지 여부
(2-2) 소량소비 한약재 안정적인 공급체계 구축 필요 여부
12. 한약이용 확대방안
(1) 첩약의 이용을 확대시키는 방안
(2) 한약제제(보험한약)의 이용을 확대시키는 방안
(3) 한약제제(비보험한약)의 이용을 확대시키는 방안
13. 한방의료 분야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될 사항
14. 한방의료에 대한 건강보험급여 확대 관련
(1) 한방의료에 대한 건강보험급여 확대 시 우선 적용이 필요한 한방치료법
(2) 건강보험급여 적용 1순위 한방치료법별 적용 필요 질환
(3) 건강보험급여 적용 1+2순위 한방치료법별 적용 필요 질환
제5장 조사 결과 분석 - 한방의료서비스 부문(요양·(종합)병원)
1. 의료기관의 일반 특성 사항
(1) 대표자 전문의 자격 명칭
(2) 타 한방기관과 진료협약 유무
2. 의료기관의 운영 현황
(1) 건물 소유 여부
(2) 시설 전체 면적
(3) 병상이용률
3. 인력현황
4. 의료기관의 경영 현황
(1) 전체 매출액
(2) 매출액 중 한방의료 매출 비중
5. 한방 진료 및 처방 현황
(1) 첩약 처방 건수
(2) 한약제제(보험한약) 처방 건수
(3) 한약제제(비보험한약) 처방 건수
(4) 2019년 대비 2020년도 첩약의 처방(조제) 건수 변화
(5) 2019년 대비 2020년도 한약제제(보험한약)의 처방(조제) 건수 변화
(6) 2019년 대비 2020년도 한약제제(비보험한약)의 처방(조제) 건수 변화
6. 첩약 및 한약제제 용도별 비중 및 다빈도 질환과 처방명
(1) 첩약 처방(조제)건 대비 용도별 비중
(2) 한약제제(비보험한약) 처방(조제)건 대비 용도별 비중
(3-1) 질환치료 시 첩약으로 가장 많이 처방(조제)된 질환
(3-2) 질환치료 시 첩약으로 가장 많이 처방(조제)된 질환별 처방명
(4-1) 질환치료 시 한약제제(비보험한약)로 가장 많이 처방(조제)된 질환
(4-2) 질환치료 시 한약제제(비보험한약)으로 가장 많이 처방(조제)된 질환별 처방명
(5-1) 질환치료 시 한약제제(보험한약)로 가장 많이 처방(조제)된 질환
(5-2) 질환치료 시 한약제제(보험한약)로 가장 많이 처방(조제)된 질환별 처방명
7. 선호 제형 및 이유
8. 탕전 이용 현황
(1) 탕전실 이용형태
(2-1) 첩약 1제당 최저가격
(2-2) 첩약 1제당 최고가격
(3) (제형별)월 평균 탕전 건수
9. 사용한 한약재 가지 수 및 다소비 한약재
(1) 사용한 한약재의 총 가지 수
(2) 가장 많이 소비한 한약재
(3) 매출액 대비 한약재 구입비용 비율
10. 한약재 구입 및 어려움
(1) 사용한 한약재를 가장 많이 구입한 구입처
(2) 구입에 어려움이 있었던 한약재 여부
(3) 구입에 어려움이 있었던 한약재
(4) 구입이 어려웠던 이유
11. 한약재에 대한 인식
(1-1) 원외탕전실 인증제 인지 여부
(1-2) 원외탕전실 이용 여부
(2-1) 한약규격품(601종) 인지 여부
(2-2) 소량소비 한약재 안정적인 공급체계 구축 필요 여부
12. 한약이용 확대방안
(1) 첩약의 이용을 확대시키는 방안
(2) 한약제제(보험한약)의 이용을 확대시키는 방안
(3) 한약제제(비보험한약)의 이용을 확대시키는 방안
13. 한방의료 분야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될 사항
14. 한방의료에 대한 건강보험급여 확대 관련
(1) 한방의료에 대한 건강보험급여 확대 시 우선 적용이 필요한 한방치료법
(2) 건강보험급여 적용 1순위 한방치료법별 적용 필요 질환
(3) 건강보험급여 적용 1+2순위 한방치료법별 적용 필요 질환
제6장 조사 결과 분석 - 조제·판매 부문
1. 시설현황
(1) 건물 소유 여부
(2) 시설 전체 면적
(3) 시설 전체 면적 대비 조제실 면적 비중
(4) 탕전시설(탕전기 포함) 구비 여부
2. 인력현황
3. 조제(판매)기관 경영현황
(1) 전체 매출액
(2) 매출액 대비 한약 관련 매출 비중
4. 한약(조제) 판매 현황
(1) 한약(조제) 판매 연 환자 수
(2) 첩약(조제) 판매 건수
(3) 한약제제(비보험한약) 조제(판매) 건수
(4) 2019년 대비 2020년도 첩약의 조제 판매 건수 변화
(5) 2019년 대비 2020년도 한약제제 비보험한약 의 조제 판매 건수 변화
5. 첩약 및 한약제제 비보험한약 용도별 비중 및 다빈도 질환과 처방명
(1) 첩약 조제(판매) 건 대비 용도별 비중
(2) 한약제제(비보험한약) 조제(판매) 건 대비 용도별 비중
(3-1) 질환치료 시 첩약으로 가장 많이 조제(판매) 된 질환
(3-2) 질환치료 시 첩약으로 가장 많이 조제(판매) 된 질환별 처방명
(4-1) 질환치료 시 한약제제(비보험한약)로 가장 많이 조제(판매)된 질환
(4-2) 질환치료 시 한약제제(비보험한약)으로 가장 많이 조제(판매)된 질환별 처방명
6. 선호 제형 및 이유
7. 한약재 구입 및 어려움
(1) 매출액 대비 한약재 구입비용 비율
(2) 사용한 한약재를 가장 많이 구입한 구입처
(3) 구입에 어려움이 있었던 한약재 여부
(4) 구입에 어려움이 있었던 한약재
(5) 구입이 어려웠던 이유 - 1순위
8. 조제실 한약재 가격 현황
(1) 첩약 1제당 최저가격
(2) 첩약 1제당 최고가격
9. 사용한 한약재 가지 수 및 다소비 한약재
(1) 사용한 한약재의 총 가지 수
(2) 가장 많이 소비한 한약재
10. 한약재에 대한 인식
(1) 한약규격품(601종) 인지 여부
(2) 소량소비 한약재 안정적인 공급체계 구축 필요 여부
11. 한약이용 확대방안
(1) 첩약의 이용을 확대시키는 방안
(2) 한약제제(비보험한약)의 이용을 확대시키는 방안
12. 한방의료 분야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될 사항
제7장 조사표 |
||